CHARSET check queries :
select parameter, value from nls_database_parameters where parameter = 'NLS_CHARACTERSET'

 

CHARSET Change

 

Connect account as SYSTEM 

update sys.props$ set value$='KO16MSWIN949' where name='NLS_CHARACTERSET'; 
update sys.props$ set value$='KO16MSWIN949' where  name='NLS_NCHAR_CHARACTERSET';
update sys.props$ set value$='KOREAN_KOREA.KO16MSWIN949' where name='NLS_LANGUAGE';
commit;
 
SHUTDOWN IMMEDIATE;
STARTUP MOUNT;
ALTER SYSTEM ENABLE RESTRICTED SESSION;
ALTER SYSTEM SET JOB_QUEUE_PROCESSES=0;
ALTER SYSTEM SET AQ_TM_PROCESSES=0;
ALTER DATABASE OPEN;
ALTER DATABASE CHARACTER SET INTERNAL_USE KO16MSWIN949;
SHUTDOWN IMMEDIATE;
STARTUP;

 

 

>>>references,

http://bluescor.tistory.com/entry/%EC%98%A4%EB%9D%BC%ED%81%B4-CHARSET-%ED%99%95%EC%9D%B8-%EB%B3%80%EA%B2%BD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letContext.setAttribute()  (0) 2016.10.11
Session  (0) 2016.09.29
[Freemarker] number format 설정  (0) 2016.06.29
OSI 7계층  (0) 2016.04.29
IPv4/IPv6  (0) 2016.04.29

The servletContext.setAttribute() is dynamic which can be set and reset during runtime.

Where as init-parameter specified in web.xml is static which will not change during the lifetime of application.

Example:

  • The database properties like database name configuration propety. It will be mostly configured as context init-param
  • And if you want to set property value which derives based on runtime changes, like "last user logged in" or "number of failures" should be context attribute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charset change  (0) 2016.10.21
Session  (0) 2016.09.29
[Freemarker] number format 설정  (0) 2016.06.29
OSI 7계층  (0) 2016.04.29
IPv4/IPv6  (0) 2016.04.29

Session 고정공격 방어책

1. Session ID –> URL 붙여넣기 기능 비활성화

2. 로그인 후 세션 마이그레이션(Session Migration)

 

Session 구성

<session-timeout>

단위: 초, 0이하는 세션 만료x,

tomcat: 초라고 책에서 나왔지만 테스트해보니 분인것같다.

default:30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charset change  (0) 2016.10.21
servletContext.setAttribute()  (0) 2016.10.11
[Freemarker] number format 설정  (0) 2016.06.29
OSI 7계층  (0) 2016.04.29
IPv4/IPv6  (0) 2016.04.29

jsp page상단에 setting 추가

 

[#setting number_format="##0"]

 

참조

 

http://hyowong-textcube.blogspot.kr/2009/09/freemaker%EB%A5%BC-%EC%93%B0%EB%8B%A4%EA%B0%80-%EC%9E%98-%EC%83%9D%EA%B8%B0%EB%8A%94-%EC%98%A4%EB%A5%98%ED%8E%8C%EA%B8%80.html

http://freemarker.org/docs/dgui_quickstart_template.html

http://freemarker.org/docs/ref_builtins_number.html

http://freemarker.org/docs/ref_builtins_number.html#ref_builtin_c

 

# long 타입 comma 문제

1. 신규로 넣을때 cntntsNo를 콤마없이 넣어서 edit view에서 가져올때 콤마를 제거해서 가져오거나

2. 콤마 있게 가져와서 수정시에 edit view에서 form post로 날릴때 제거해서 처리하거나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charset change  (0) 2016.10.21
servletContext.setAttribute()  (0) 2016.10.11
Session  (0) 2016.09.29
OSI 7계층  (0) 2016.04.29
IPv4/IPv6  (0) 2016.04.29

-표준화를 통한 비용절감의 목적

-학습도구로서 계층별 기능과 통신과정을 정립


-응용,표현,세션,전송,네트워크,데이터링크,물리 계층의 7계층

-캡슐레이션: 각 층마다 헤더를 붙여 데이터를 전송
                 (2계층은 오류제어 위한 테일이 씌임)

-디캡슐레이션: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된 후 1계층에서 7계층으로 올라가며 헤더가 벗겨지는 과정

-서버와 클라이언트관계가 성립: 층이 서로 요청과 응답을 통해 상호작용

-PDU(Process Data Unit): 2,3,4계층

-응용 Application 
 프로토콜:  
 서비스제공:
 기능:

-표현 Presentation
 프로토콜:  
 서비스제공:
 기능:

-세션 Session
 프로토콜:  
 서비스제공:
 기능:

-전송 Transport
 프로토콜:  
 서비스제공:
 기능:

-네트워크 Network
프로토콜:
서비스제공:
기능:

-데이터링크 Data link
프로토콜:
서비스제공:
기능:

-물리 Physical
프로토콜:
서비스제공:
기능:


참조:

http://beansberries.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OSI-7-%EA%B3%84%EC%B8%B5

http://enter.tistory.com/141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charset change  (0) 2016.10.21
servletContext.setAttribute()  (0) 2016.10.11
Session  (0) 2016.09.29
[Freemarker] number format 설정  (0) 2016.06.29
IPv4/IPv6  (0) 2016.04.29


Internet Protocol version 6

-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중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서 버전 6 인터넷 프로토콜(version 6 Internet Protocol)로 제정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 인터넷(Internet)은 IPv4 프로토콜로 구축되어 왔으나 IPv4 프로토콜의 한계점으로 인해 지속적인 인터넷 발전에 문제가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IPv6 프로토콜을 제정

*IPv4(32bit-4byte)

-2012년 1월 30일 기준으로 IPv4의 232인 4,294,967,296개 중에 3,410,303,904개가 할당, 588,514,560개가 특수용도, 296,148,832개가 미할당

- 모자라는 주소를 더 많은 네트워크에 할당하기 위해 네트워크 프래그멘테이션(Network Fragmentation)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라우터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

-인터넷의 주소 고갈과 네트워크 프래그멘테이션 문제를 해결하고 인터넷에 확장성과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IPv6가 제안

**IPv6(128bit-32byte)

-IPv6는 팰로앨토 연구소에서 개발하고, 1994년 IETF(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가 채택

-처음에는 IP Next Generation (IPng)

-현재 IPv6의 사용량은 매우 적은 편이며, 인터넷의 나머지 부분은 아직도 IPv4 프로토콜로 작동

-2012년 1월 30일 기준으로 IPv6의 2128인 약 3.4x1038개(340,282,366,920,938,463,463,374,607,431,768,211,456개) 가운데 21,131,922개의 주소만 전 세계에서 할당되어 사용중이고 이 중에 20,971,520개의 주소는 특수목적용으로 할당되어 있으므로 실제 160,402개의 주소만 실제 사용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charset change  (0) 2016.10.21
servletContext.setAttribute()  (0) 2016.10.11
Session  (0) 2016.09.29
[Freemarker] number format 설정  (0) 2016.06.29
OSI 7계층  (0) 2016.04.29

+ Recent posts